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한도 이율 국민은행 상품안내
안녕하세요?
'다른 사람들로부터 대접을 잘 받고 싶거든 먼저 그 사람들로부터 대접을 잘 해 주라.'는 말씀이 있잖아요.
기브앤테이크가 기본이 되는 사회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오늘은 내집 마련 재테크의 기본 공식이라 하는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한도, 이율 등 기본적인 정보와 국민은행의 주택청약종합저축 상품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할게요.
★ 주택청약종합저축 주요 정보 안내
기존의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의 기능을 한데 묶어놓은 주택청약통장이라 할 수 있는데요. 2009년 5월 6일 처음 출시 되었습니다.
가장 큰 장점은 다른 저축 상품에 비해 금리도 높고, 연말정산 시 납입액의 40%, 240만원 한도 내에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최대 96만원의 절세효과를 볼 수 있기에 직장인에게 가장 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1. 가입 방법
주택 소유나 세대주 여부, 연령 등에 관계없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것이 조건이랍니다.
1인 1통장 제도가 적용되어 기존의 청약통장에 가입한 경우에는 이를 해지하고 신규로 가입하여야 하고, 2개 이상의 은행에 중복 가입도 허용되지 않는다.
2. 납입 방식 및 한도
일정액 적립식과 예치식을 병행 할 수 있는데요.
매월 2만 원 이상 50만원 이내에서 5천원 단위로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하며, 통장 잔액이 1,500만원 미만일 경우에는 잔액 1,500만원까지 일시 예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통장 잔액이 1,500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월 50만원 이내에서 자유적립을 할 수 있습니다.
3. 취급 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신한·우리·국민·하나·기업·농협·대구·부산은행 등 총 8개 은행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4. 주택청약통장의 활용
수도권의 경우 가입 후 1년이 지나면 1순위가 되며, 수도권 외의 지역은 6~12개월 범위에서 시·도지사가 정하는 기간이 지나면 1순위가 된다. 20세 미만의 가입자인 경우는 1순위가 되더라도 청약할 수 없다.
- 국민주택 1순위 조건
가입 후 6개월(수도권 외 지역, 납입횟수 6회 이상) 또는 1년(수도권 지역, 납입횟수 12회 이상)이 지난 시점까지 연체 없이 청약을 납입한 자.
- 민영주택 1순위 조건
매월 약정일에 연체 없이 납입하고 예금 잔액이 지역별 청약 예치금 이상인 자.
(수도권은 가입 기간 1년 이상, 납입횟수 제한 없음. 수도권 외 지역은 가입 기간 6개월 이상, 납입횟수 제한 없음.)
5. 지역별 청약예치금
민영주택 청약의 경우, 최초 청약신청 전까지 청약예금 지역별 예치금액에 따른 면적을 선택(85㎡ 이하, 102㎡ 이하, 135㎡ 이하, 모든면적 중 선택)하여 등록해야 합니다.
서울· 부산은 85㎡ 이하 300만원, 102㎡ 이하는 600만원, 135㎡ 이하는 1,000만 원입니다. 전용면적 구분 없이 모든 주택에 청약하기 위해서는 1,500만원의 예치금이 필요하답니다.
기타 광역시는 각 전용면적별로 250만원, 400만원 700만원, 1,000만원이 필요하고요.
그 외 시·군 지역은 이보다 낮은 200만원, 300만원, 400만원, 500만원입니다.
입주자 모집 공고일 기준이 중요한데요. 지역별, 면적별 예치금 충족시 자유롭게 다른 면적으로 변경 가능하며, 큰 면적으로 변경한 경우에는 입주자모집공고일 전일까지 변경해야 큰 면적에 청약이 가능합니다.
★ 국민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상품 알아보기
가입대상은 국민인 개인 또는 외국인 거주자로서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합니다. 단, 전 금융기관을 통틀어서 청약관련 통장이 1인 1계좌만 보유가 가능하답니다.
- 적립방법 및 저축금액 한도 입니다.
- 세금 및 가입지역, 납입기간 안내입니다.
-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금리 및 이율 안내입니다.
가입일로부터 1개월 이내는 무이자, 1개월 초과~1년 미만은 연 1.0%, 1년 이상 2년 미만은 연 1.5%, 2년 이상은 연 1.8%의 금리를 적용한다.
- 가입 필요서류 안내(실명확인증표)
- 소득공제 대상, 필요서류, 한도 안내입니다.
이상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한도, 이율 등 기본적인 정보와 국민은행의 주택청약종합저축 상품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재테크 어렵지 않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축은행 대출금리비교 확인방법 (0) | 2017.06.22 |
---|---|
시중은행금리비교 및 수수료비교 하는 법 (0) | 2017.06.21 |
범용 공인인증서 발급방법 정리 (0) | 2017.05.28 |
하나은행 이체한도 조회 및 변경방법 (0) | 2017.05.27 |
신한은행 환전 및 환율우대쿠폰 90% 발급 (0) | 2017.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