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구성의 변화

안녕하세요?

목적이 없으면 계획은 어그러질 수밖에 없다. 목적하는 항구의 방향을 모른다면 모든 바람이 역풍일 테니까. - 세네카의 말씀입니다.

 

인생의 목표를 단기, 중기, 장기로 세워서 나아가야 하는데요. 항상 목표는 수립하죠. 하지만 구체적인 목표까지 세우진 않습니다. 그게 문제인 것 같더라고요. 1년에 대한 목표, 5년~10년의 중장기 목표 들을 세워서 나만의 계획으로 세우고 사람들에게 이러이러하다 라는 공표를 함으로써 세상에 내 계획을 알려야 하지 않을까요.

 

오늘 이 시간엔 가족복지론 중 현대가족의 변화와 문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인구 구성의 변화

1) 초혼연령 증가 및 혼인 감소 : 우리나라의 최근 20년 사이 남녀 초혼연령은 4세 가량 증가했다. ‘2010 인구주택 총 조사 전수결과 심층 분석을 위한 연구’를 보면, 남성의 초혼연령은 1990년 27.9세에서 2010년 31.8세로 3.9세나 늦춰졌다고 보고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3) 연구보고서의 ‘혼인동향 분석과 정책과제’를 보면, 2010년 인구센서스의 나이대별 미혼율이 앞으로도 계속되면, 당시 20살 남성 가운데 23.8%, 여성은 18.9%가 44살까지 미혼으로 남을 것으로 추정했으며, 혼인과 관련한 현재 추세가 지속되면, 20년 뒤에는 44살 남녀 열에 둘은 미혼상태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제 아는 지인들도 43세 형님, 39세 여성분 등이 있는데 다들 혼기가 넘어서 노총각, 노처녀가 의외로 많은 것 같습니다.

 

2) 출산율의 감소 : 현재 우리나라 출산율은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960년대의 평균 출산은 6.0명에서 1970년에는 4.5명, 1980년에는 2.83명, 1990년에는 1.59명, 2000년에는 1.47명으로 초저출산 사회에 진입하였다. 특히 2005년에는 1.07명으로 세계 최저수준을 기록하면서 저출산이 사회적 이슈로 크게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3) 고령화인구 증가 : 인구학에서 65세 이상 인구를 노령인구라고 부른다. 구성비에 따라 고령화 사회(7%이상)-고령사
회(14% 이상)-초고령 사회(20%)의 3단계로 나눈다.

2010년 현재 노령인구는 545만 명으로 11.0%에 도달했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가구주인 고령가구의 비율도 2000년 11.9%에 비해 17.4%로서 5.5%포인트 증가했다.
지금까지의 추세대로 간다면 2017년에 14.0%를 넘어 고령사회가 되고 2026년에 20.8%를 어 5명 중 1명이 노인인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고령사회가 되는 데 17년밖에 걸리지 않는 것이다.

 

2. 가족구조의 변화

1) 가족규모의 축소 : 우리나라의 경우 1인 가구의 증가세는 세계에서도 가장 빠른 수준이다. 이러한 1인 가구의 증가추세는 부모와 자식이 함께 사는 핵가족의 형태가 점차 해체되고, 결혼을 하지 않거나, 이혼, 사별이 꾸준히 늘어나기 때문이다.

 

2) 가족형태의 다양화 : 개인주의 가치관이 일반화되고 여성의 경제활동이 늘어나면서 초혼연령의 상승 및 성역할의 변
화로 핵가족이 가속화되고 가족세대가 분화되는 가족구조의 변화를 겪고 있으며, 사회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가족유형이 나타나고 있다.

 

① 한부모가족 - 이혼, 사망, 별거, 유기, 그리고 미혼모 등의 발생이 증가하여 그 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② 재혼가족 - 혼합가족 또는 재구성 가족으로도 불린다. 최근 현대사회는 점차 이혼율이 늘어남에 따라 재혼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③ 무자녀가족 - 무자녀가족(voluntary childless family)은 부부의 합의하에 자발적으로 자녀를 갖지 않기로 결정하고 자녀 없이 부부 두 사람만으로 구성되는 가족을 말하며, 자녀 출산을 거부하는 삶의 형태로 딩크족(DINK : Double Income No Kids)이라고도 하며, 부부가 자신들이 처한 각 상황 속에서 자신들에게 가장 적합한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과정적 현상’으로 이해된다.

④ 다문화가족 - 최근 2000년 이후 우리나라는 외국인 노동력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외국인 여성과의 국제결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현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⑤ 동성애가족 - 동성애 자체의 증가보다는 성적 취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개방과 더불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⑥ 공동체 가족 - 혼인과 혈연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 가족 틀을 벗어나 공동체적 기능을 갖는 개인 및 가족들의 복합체라 할 수 있다.

 

3. 가족기능의 변화

가족은 개인의 성장•발달을 위해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가족기능은 산업의 발달과 도시화의 영향으로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가족기능의 일부가 다른 사회기관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그 기능이 축소•약화된 반면, 자녀를 사회화시키는 기능이나 가족구성원의 긴장과 피로를 회복시키기 위한 기능,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능은 오히려 확대•강화되고 있다.
가족의 일반적인 기능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성적 및 재생산 기능의 변화

2) 자녀양육 및 사회화의 기능 변화

3) 경제적 기능의 변화

4) 정서적 유대 및 여가의 기능 변화

5) 사회보장기능의 변화

6) 지위계승기능의 변화

7) 가사노동의 변화

 

 

 

이상 현대가족의 변화와 문제에 관하여 상세히 기술해 보았습니다.

+ Recent posts